서브넷(2)
-
[Network] IP addressing
IP 주소는 총 32비트로 8비트씩 4개, 즉 1바이트씩 4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223.1.1.1의 경우 다음과 같다. 11011111 00000001 00000001 00000001 (223.1.1.1) 또한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눌 수 있다. 문자 그대로 네트워크 주소는 네트워크의 주소를 의미하고 호스트의 주소는 나 자신의 주소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주소가 같다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당연하게도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가 크다면 그만큼 호스트 주소의 범위가 줄어든다. 호스트의 수를 생각해서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를 정하면 된다.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클래스가 존재한다. Subnet 호스트 주소를 할당받으면 이 호스트 주소를 더 작은 단위..
2023.06.04 -
[AWS] public subnet에 EC2,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1)
이번 포스팅에서는 public subnet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privatet tsubnet에 RDS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통신할 예정이다. 다음 다이어그램은 우리가 만들 aws 아키텍처이다. EC2는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게하고 RDS는 privte subnet에 두고 EC2 인스턴스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예정이다. 기본 설정들을 사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겠지만 하나하나 직접 만들어보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public subnet과 EC2를, 다음 포스팅에서 private subnet과 RDS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1. VPC 생성 VPC에서 VPC 생성을 클릭한다. IPv4 CIDR은 10.0.0.0/16로 설정해두고 IPv6 CIDR은 "없음"을 선택..
2023.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