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erge3 [Git] git 비슷한 명령어 제대로 이해하기 (fetch/pull, checkout/switch, merge/rebase) 로그인이라는 기능을 구현할 때 git을 활용하여 버전 관리를 한다고 하면 일반적으로 다음 과정을 거친다. 1. login 브랜치를 생성한다.git branch login 2. login 브랜치로 이동한다.git checkout login 3. 변경 사항들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커밋한다.git add *git commit -m "Feat: Form 구현"git add *git commit -m "Feat: 유효성 검사 구현" 4. main 브랜치에 머지한다.git checkout maingit merge login 5. 원격 저장소에 push 한다.git push origin main 6. 이후 원격 저장소에 변경사항이 있다면 pull 한다.git pull origin main 위 명령어들만 알아도 git.. 2024. 8. 19. [Git&GitHub] 서로 다른 브랜치 병합하는 방법 (충돌 해결) 두 명이서 협업을 하는데 한 명은 A 기능, 다른 한 명은 B 기능을 개발한다고 하자. 그런데 충돌을 피하기 위해 A 기능이 다 개발되고 커밋된 내용을 받아서 B 기능 개발을 시작한다면 협업의 의미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브랜치를 사용한다. 현재 둘은 main 브랜치에 존재하고 같은 코드를 가지고 있다. 이 상황에서 협업을 시작할 때 A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와 B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로 나누는 것이다. 이 각각의 브랜치는 서로 독립적이고 같은 뿌리로부터 분리되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이후 각각의 기능이 개발이 되고나면 다시 main 브랜치로 합치는 과정을 브랜치 병합이라고 한다. 만약 두 개발자가 서로 수정한 코드가 하나도 겹치지 않는다면 깔끔하게 병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2023. 3. 16. [Database] 디스크 안에 파일 레코드를 저장하는 방법 데이터는 파일 속에 레코드 형태로 보관이 된다. 이러한 레코드는 고정 길이 레코드 가변 길이 레코드 로 나뉜다. 고정 길이의 경우 길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얻기 쉬우나 가변 길이의 경우 구분자를 사용한다. 고정길이 가변길이 blocking factor (블록 당 레코드의 수) 블록의 크기가 512 Bytes이고 레코드의 크기가 100 Bytes라고 한다면 하나의 블록에는 5개의 레코드가 들어가고 12Bytes는 남게 된다. 즉 512/100에서 소수점을 버리면 이게 곧 blocking factor 이다. bfr(blocking factor) = B(블록 크기)/R(레코드 크기) 블록마다 남는 크기는 B - bfr * R 이다. 레코드들의 크기가 블록의 크기보다 커진다면 어떻게 할까? 두.. 2022. 11. 2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