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Android Studio(11)
-
[Android/Kotlin] AlarmManager 사용법
지금까지 ForegroundService와 WorkManager에 대해서 공부했다. AlarmManager의 경우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작업을 하고 정확한 시간에 끝낼 때 사용한다. 특정 시간이 지나면 시간이 다 된 것을 notification으로 알리는 앱을 만들어보려 한다. 뷰바인딩을 사용할 예정이므로 뷰바인딩을 세팅해준다. https://growth-coder.tistory.com/30 [Android/Kotlin] activity와 fragment에서 view binding 사용법 view binding을 사용하면 view에 존재하는 값들에 접근할 수 있다. 이전에는 view에 존재하는 값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ID를 사용해서 findViewById를 사용하였다. 이제는 view bindin..
2023.01.05 -
[Android/Kotlin] Work Manager 사용법
이전 포스팅에서 notification을 띄우면서 백그라운드 작업을 진행하는 포어그라운드 서비스에 대해서 공부했었다. https://growth-coder.tistory.com/48 [Android/Kotlin] Foreground Service 사용 방법 음악을 틀어놓고 웹 서핑을 한다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서 문자를 한다거나 이렇게 특정 동작을 수행 도중에 다른 동작도 수행할 일이 있을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음악, 앱 설치의 경우 growth-coder.tistory.com 이번에는 notification을 띄우지 않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진행해보려 한다. 버튼을 클릭하면 notification을 띄우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1에서 100까지 로그를 출력해보려 한다. 이번에 사용할 Work Man..
2023.01.04 -
[Android/Kotlin] 리사이클러 뷰 아이템에 애니메이션 (view binding)
리사이클러 뷰의 아이템들이 로딩될 때마다 점점 커지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코드는 res/anim 디렉토리에 xml파일로 만들면 된다. 만약 anim 디렉토리가 없다면 새로 만들어준다. 애니메이션 파일을 만들었으면 리사이클러 뷰를 만들 차례인데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같다. https://growth-coder.tistory.com/31 [Android/Kotlin] Recycler view 사용법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형식을 가진 여러 개의 데이터를 출력해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이트의 회원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할 때 회원 하나하나마다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것은 비 growth-coder.tistory.com 이 때는 User 객체의 배열을 만들어..
2023.01.03 -
[Android/Kotlin] Foreground Service 사용 방법
음악을 틀어놓고 웹 서핑을 한다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서 문자를 한다거나 이렇게 특정 동작을 수행 도중에 다른 동작도 수행할 일이 있을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음악, 앱 설치의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일종의 백그라운드 서비스로 실행이 된다. 안드로이드에서는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실행할 때는 반드시 notification을 띄워서 사용자에게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앱이 있다고 알려줘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실행 중인 것을 모르고 계속 사용한다면 배터리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백그라운드 서비스가 실행중일 때 notification을 띄우는 것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서비스라고 한다. 포어그라운드 서비스에 대해서 공부하기 위해 1부터 100까지 숫자를 증..
2022.12.24 -
[Android/Kotlin] MVVM Repository 패턴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유저 정보 등록 및 출력
이전 포스팅에서 리사이클러뷰를 사용하여 유저들의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리사이클러뷰 사용법에 대해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유저들의 정보를 임의로 만들어서 사용했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유저 정보를 저장하고 그 유저들의 정보를 리사이클러뷰에 출력해보려 한다. view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MVVM Repository 패턴을 활용할 예정이다. Repository에서는 요청받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view model에 넘겨준다. view model에서는 model에 요청한 정보를 사용할 목적에 맞게 바꾸어 저장한다. view에서는 view model로 부터 원하는 정보를 가져와서 출력한다. 일단 이전 포스팅에 사용한 코드를 불러온다. https://..
2022.12.23 -
[Android Studio] Firebase와 연결하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Database가 필요할 때 주로 Firebase라는 Database를 사용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Firebase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나서 상단의 Tools -> Firebase를 클릭한다. Realtime Database를 클릭한다. Kotlin이면 아래를, 아니면 위를 클릭한다. 이제 순서대로 진행하면 되는데 먼저 Connect to Firebase를 클릭한다. build를 클릭한다. build가 완료되면 2번으로 넘어간다. Accept changes를 누른다. 다시 connect to Firebase를 누르면 파이어베이스 웹사이트를 열 수 있다. 프로젝트를 추가해준다. 프로젝트 만들기 3단계까지 계속을 누른다...
202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