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데이터베이스는 자기디스크에 레코드의 파일로 물리적으로 저장된다.
저장 장소의 경우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1. Primary storage (주 기억장치)
CPU에 의해 직접적으로 관리된다.
ex) 메인메모리, 캐시메모리
2. Secondary storage (2차 기억장치)
주 기억장치에 비해 가격이 싸고 대용량을 보관할 수 있다.
주 기억장치에서 직접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주 기억장치로 한 번 옮기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ex)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3. Tertiary storage (3차 기억장치)
2차 기억장치와 다른 점은 오프라인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치라는 점이다.
ex) DVD, CD-ROM
3번에서 1번으로 갈 수록 빠르고, 용량이 적고 비싸다.
이 중에서 2차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자기 디스크의 구조는 위와 같다.
- 기록면 :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면
- 헤드 : 기록면을 읽는 장치
- 트랙 : 기록면에는 여러 개의 동심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의 동심원을 트랙이라고 한다.
- 섹터(블록) : 기록면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부채꼴 모양을 섹터라고 한다.
- 실린더 : 자기 디스크는 여러개의 디스크 원반이 수직으로 쌓여있는 형태인데 여기서 중심원으로 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트랙들을 모두 모아보면 통 형태이기 때문에 실린더라고 한다.
자기 디스크는 직접 접근 장치(DASD)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 특정 위치로 바로 갈 수 있다. 순차적이진 않다.
- 계속 회전중이다.
- 디스크 팩은 고정식과 제거식으로 나뉘고 대부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고정식을 사용한다.
- 보통 하나의 디스크 원판 당 위아래로 하나씩 헤드가 존재 한다.
- 가장 바깥에 있는 0번 트랙의 경우 헤드가 안으로 들어가지 않아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0번 트랙을 모아둔 0번 실린더를 전부 쓴 다음에 그 다음 번호 실린더의 트랙으로 이동하면 효율적이다.
728x90
반응형
'공부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Sequential Files(Ordered Files)의 정의와 트랜잭션 파일(transaction file) (0) | 2022.11.24 |
---|---|
[Database] 더블 버퍼링 (double buffering) (0) | 2022.11.23 |
[Database] 디스크 안에 파일 레코드를 저장하는 방법 (0) | 2022.11.23 |
[Database] 데이터 전송 연산 시간 계산 (0) | 2022.11.22 |
[Database] 자기 디스크의 주소법 (0) | 2022.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