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공부/Spring62

[Spring] 스프링 mysql 데이터베이스와 jpa 연동 본 포스팅은 mysql이 깔려있다는 가정하게 진행합니다. mysql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후 jpa를 사용할 예정이므로 다음과 같은 dependencies를 추가한다. 만약 기존 프로젝트에 mysql과 jpa를 사용하고 싶다면 build.gradle에 다음 두 줄을 적용한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mysql:mysql-connector-java:8.0.32' cmd 창에 mysql -u root -p 명령어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접속한다.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 명];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show databases; .. 2023. 2. 17.
[Spring][Thymeleaf] 공통 레이아웃 적용 (Thymeleaf Layout Dialect) 페이지를 구성하다보면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통적인 부분들을 따로 만들어서 각각의 페이지에 끼워넣기만 하면 편리할 것이다. 이를 도와주는 것이 Thymeleaf Layout Dialect이다. build.gradle의 dependencies에 다음 코드를 추가한다. dependencies{ . . . implementation 'nz.net.ultraq.thymeleaf:thymeleaf-layout-dialect'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 타임리프가 이미 추가되어있다면 dialect만 추가하면 된다. 이제 공통 레이아웃을 만들 차례이다. 나는 commons.html 안에 다.. 2023. 2. 14.
[Spring][Thymeleaf] 타임리프 기초 문법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면을 그려주어야 할 때 크게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방식(CSR)과 서버 사이드 렌더링 방식(SSR)으로 나뉜다. CSR은 서버에서 보내준 데이터를 가지고 클라이언트에서 화면을 그리는 방식이고 SSR은 서버가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화면을 만들어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주는 방식이다. SSR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서버 사이드 템플릿 엔진을 사용해야한다. 종류로는 Thymeleaf, Mustache, JSP 등등이 있지만 요즘 주로 사용하는 템플릿 엔진은 Thymeleaf이다. Thymeleaf의 기초 문법에 대해 공부해보려 한다. 프로젝트 처음 생성할 때 https://start.spring.io/ 사이트에서 dependency를 추가할 때는 아래처럼 직접 Thymeleaf를 추가하면 된.. 2023. 2. 12.
[Spring][JPA]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JPA 기초 사용법 JPA 기초 사용법을 공부해보려 한다. 기초적인 사용법만 알아볼 예정으로 데이터베이스는 h2를 쓰려고 한다. https://start.spring.io 위 사이트에서 다음과 같이 dependencies를 추가해준다. 그리고 h2 데이터베이스 사용하도록 설정해야한다. 기본적으로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이 존재할텐데 이를 사용해도 되지만 가독성이 좋은 application.yml 파일을 사용할 예정이다. application.properties 우클릭 -> refactor -> rename에서 확장자를 yml으로 바꾸어준다. 그리고 다음 코드를 입력해준다.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rl: jdbc:h2:mem:tes.. 2023. 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