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4

[보안] SSL/TLS 인증서 발급 과정 및 인증 절차 https://growth-coder.tistory.com/259 저번 포스팅에서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 방식의 차이점과 이 둘을 혼합한 암호 모델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SL/TLS 인증서에 대한 개념을 공부해보려고 한다. 저번 포스팅에서 설명한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 방식을 혼합한 방식에 대해서 설명을 했었는데 그 방식이 사용된다. (위 링크 참고) SSL과 TLS SSL과 TLS는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SSL은 MAC을 사용하여 메시지 변조를 방지하고 TLS는 MAC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이번 포스팅의 주된 내용은 SSL과 TLS의 개념적 차이가 아닌 동작 방식이기 때문에 이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깊게 알아보지는 않으려고 한다. CA (C.. 2023. 10. 30.
[보안] 대칭키, 비대칭키(공개키), 혼합 대칭키 방식 대칭키 방식이란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방식을 의미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DES에 대한 내용을 공부했었는데 이 DES가 대칭키를 사용한 암호화 방식이다. https://growth-coder.tistory.com/252 [정보 보안] 블록 암호와 DES (feistel) 암호 기법은 평문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서 스트림 암호와 블록 암호로 나뉜다. 스트림 암호는 난수를 1비트 단위로 생성하고 평문과 xor 연산을 해서 암호화를 진행한다. 스트림 암호가 1비트 growth-coder.tistory.com 대칭키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연산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키가 유출되면 누구든 키를 가지고 암호화된 내용을 복호.. 2023. 10. 28.
[LangChain] Chains와 LCEL 사용법 LLM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여러 요소들(prompt, parser 등등...)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LangChain이 제공해주는 Chains을 사용하면 여러 요소들을 쉽게 통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Chains를 구현하기 위해서 크게 두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그 중 LCEL에 대해서 알아보자. LCEL(LangChain Expression Language) prompt, chat model, output parser들을 LCEL을 사용하여 연결해보자. 우선 역사적 인물의 이름을 입력하면 이 인물의 정보를 class로 반환해주는 것을 만들어보자. prompt는 ChatPromptTemplate, chat model은 ChatOpenAI, output parser는 Pydantic.. 2023. 10. 27.
[WebRTC] WebRTC, KMS, OpenVidu 개념 WebRTC는 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의 도움 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I이다. 즉 따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을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WebRTC는 다음 그림과 같이 동작한다. 각각의 용어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 전에 NAT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 만약 NAT에 대해서 모른다면 아래 포스팅을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https://growth-coder.tistory.com/192 [Network] DHCP와 NAT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v4의 경우 IP주소가 40억개쯤 되는데 시간이 많이 지남에 따라 거의 고갈되어 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려고 한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 gr.. 2023. 10.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