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공부215

[OS] 쓰레드의 개념과 프로세스와의 차이 https://growth-coder.tistory.com/139 [OS]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및 프로세스 구조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는 혼동하기 쉬운데 둘은 엄연히 다르다. 프로그램은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들의 집합이다. 또한 컴파일된 결과물이 디스크에 저 growth-coder.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프로세스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 내부에서 실행되는 쓰레드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쓰레드는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cpu의 작업 단위이다. 프로세스 내부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라고 보면 된다. 하나의 프로세스 내부에서는 여러 개의 쓰레드가 실행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쓰레드를 가지는 프로세스를 멀티 쓰레드 프로세.. 2023. 5. 25.
[AWS] HTTPS로 서버 배포하기 2편 (NAT gateway 연결) https://growth-coder.tistory.com/180 이전 포스팅에서 private subnet에 EC2 인스턴스를 두고 session manager로 접근까지 해봤다. 또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ing 명령어로 보낸 패킷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한 것까지 확인했다. 이제 아키텍처 부분의 NAT gateway를 연결하려고 한다. 물론 HTTPS 서버 배포와 관련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넘어가도 된다. 그런데 NAT gateway를 구성하려는 이유는 private subnet에 존재하는 EC2 인스턴스에서 기본적인 환경 세팅(mysql 설치 등등)의 과정에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해서 NAT gateway를 구성하려고 한다. NAT gateway를 사용하면 pr.. 2023. 5. 24.
[OS] CPU Scheduling와 프로세스 상태도 다음은 다섯 개의 state가 존재하는 프로세스의 상태도이다. CPU가 하나 당 프로세스는 하나만 실행할 수 있다. 동시에 여러 개를 실행할 수는 없다. 그러나 단일 CPU이어도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여러 프로세스가 돌아갈 때 한 프로세스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음 프로세스가 실행된다면 많은 시간이 걸릴 뿐더러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를 실행한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CPU가 이 프로세스들에게 일정 시간(time quantum)을 부여한 다음 그 시간을 다 사용한다면 잠시 멈췄다가 그 다음 프로세스에게 일정 시간(time quantum)을 부여한다. 이를 담당하는 것이 CPU 스케줄러이고 이렇게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cpu 스케줄링이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될 때 프로세스.. 2023. 5. 23.
[AWS] HTTPS로 서버 배포하기 1편 (session manager 방식으로 private EC2 접근하기) https://growth-coder.tistory.com/170 [AWS] public subnet에 EC2,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2) https://growth-coder.tistory.com/169 이전 포스팅에서 public subnet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EC2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해 볼 예정이다. RDS를 growth-coder.tistory.com 이전에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를 두고 public subnet에 EC2 인스턴스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해봤다. RDS를 private subnet에 둠으로써 어느정도 보안은 강화했지만 EC2 인스턴스.. 2023. 5.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