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부215 [AWS] public subnet에 EC2,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2) https://growth-coder.tistory.com/169 이전 포스팅에서 public subnet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EC2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해 볼 예정이다. RDS를 생성하기 전에 서브넷 그룹부터 만들어볼 예정이다. EC2의 경우 인스턴스 하나에 서브넷 하나를 할당했지만 RDS는 "서브넷 그룹"을 할당한다. 서브넷 그룹에 서로 다른 가용 영역에 존재하는 서브넷 두 개를 넣어서 할당할 예정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가용 영역을 두는 것을 멀티 AZ(avaialble zone)이라고 한다. 그런데 프리 티어에서는 RDS의 멀티 AZ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번 포스팅에서 실제로는 단일 인스턴스에 하나의 가용.. 2023. 5. 3. [AWS] public subnet에 EC2, private subnet에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1) 이번 포스팅에서는 public subnet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privatet tsubnet에 RDS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통신할 예정이다. 다음 다이어그램은 우리가 만들 aws 아키텍처이다. EC2는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게하고 RDS는 privte subnet에 두고 EC2 인스턴스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예정이다. 기본 설정들을 사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겠지만 하나하나 직접 만들어보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public subnet과 EC2를, 다음 포스팅에서 private subnet과 RDS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1. VPC 생성 VPC에서 VPC 생성을 클릭한다. IPv4 CIDR은 10.0.0.0/16로 설정해두고 IPv6 CIDR은 "없음"을 선택.. 2023. 5. 2. [Spring] 스프링 시큐리티와 jwt 사용해서 인증 및 인가 구현 (1) https://growth-coder.tistory.com/166 이전 포스팅에서 JWT를 생성하는 JwtUtil 클래스를 만들어보았다. 이제는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하여 인증 과정을 시큐리티에게 맡기려고 한다. 구현에 앞서 스프링 시큐리티의 로그인 과정을 그림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http 요청이 오면 AuthenticationFilter에서 그 요청을 받는다. username과 password를 인자로 넘겨주어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을 생성한다. AuthenticationManager 객체는 authenticate 메소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 메소드의 인자로 2번에서 생성한 token을 넣어준다. AuthenticationManager의 authenticate .. 2023. 5. 1. [Spring] 스프링 jwt 생성, 검증, 값 가져오기 구현 로그인한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해서 토큰 방식이 주로 쓰이곤한다. 로그인에 성공하면 서버에서 토큰을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준다. 그리고 로그인이 필요한 요청을 할 때마다 요청 헤더에 토큰을 담아서 서버에 보내준다. 서버에서는 받은 토큰의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고 유효하다면 올바른 데이터를 반환해주고 유효하지 않다면 unauthorized 에러를 반환한다. 토큰의 경우 json web token(jwt)를 주로 사용한다. 이 jwt를 발급하는 과정을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먼저 build.gradle의 dependencies에 다음 코드를 추가한다. implementation 'io.jsonwebtoken:jjwt:0.9.1' 그리고 토큰 생성에 사용될 secretKey와 유효 기간을 만들어야한다. secretK.. 2023. 4. 30.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5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