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부212 [Database] 데이터 전송 연산 시간 계산 데이터 전송 연산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탐구 시간 (seek time) : 헤드를 가지고 있는 암이 해당 실린더에 이동하는 시간 헤드 활동 개시 시간(head activation time) : 헤드가 활동을 시작하는 시간 회전 지연 시간(rotational latency) : 헤드가 트랙에서 해당 블록까지 가는 시간 전송 시간(transfer time) : 블록 안의 섹터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대랑 전송 (Bulk transfer) 대랑 전송은 문자 그대로 여러 블록을 전송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탐구 시간과 회전 지연 시간의 경우 첫 블록에 도달할 때만 시간이 걸리고 그 다음 연속된 블록에 도달할 때는 걸리는 시간이 0이다. 그렇기에 연속된 블록을 디스크에 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디.. 2022. 11. 22. [Database] 자기 디스크의 주소법 이전 포스팅에서 자기 디스크의 구조에 대해 포스팅 하였는데 이제 여기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의 주소법에 대해서 공부해보려 한다. 디스크 주소법은 다음과 같다. 디스크 주소법 random access한 특성을 가지며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메인메모리와 디스크 사이의 transfer 단위가 블록을 이룬다. 여기서 하드웨어 주소는 실린더 번호, 트랙번호, 블록 번호로 이루어진 방식(실린더 주소법)과 0에서 n번까지 주소를 주고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LBA(섹터 주소법) 방식이 있다. 디스크 주소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하드웨어 주소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1. 실린더 주소법 트랙의 특성상 가운데로 갈 수록 작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트랙의 용량은 일정하다. 가운데로 갈 수록 정보의 밀도가 높아지지 용량이 적어.. 2022. 11. 21. [Android Studio/Kotlin] fragment 사용법 1 (fragment 교체) 프래그먼트를 활용하여 navigation bar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하단의 navigation bar의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로 fragment를 교체하는 방식이다. 먼저 레이아웃의 경우 위에는 프래그먼트가 들어가야하고 아래에는 navigation bar가 들어가도록 짜야한다. 메인 액티비티에서 linear layout (vertical)을 만들고 NavHostFragment를 검색하여 추가한다. NavHostFragment를 추가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를 눌러서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resource file을 추가해준다. 추가된 resource file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추가해준다. 이제 navigation 디렉토리 안에 만든 xml 파일이 존재하는 모습을 확인.. 2022. 11. 20. [Database] 2차 저장 장치 구조(자기 디스크) 데이터베이스는 자기디스크에 레코드의 파일로 물리적으로 저장된다. 저장 장소의 경우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1. Primary storage (주 기억장치) CPU에 의해 직접적으로 관리된다. ex) 메인메모리, 캐시메모리 2. Secondary storage (2차 기억장치) 주 기억장치에 비해 가격이 싸고 대용량을 보관할 수 있다. 주 기억장치에서 직접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주 기억장치로 한 번 옮기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ex)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3. Tertiary storage (3차 기억장치) 2차 기억장치와 다른 점은 오프라인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치라는 점이다. ex) DVD, CD-ROM 3번에서 1번으로 갈 수록 빠르고, 용량이 적고 비싸다. 이 중에서 2차 저.. 2022. 11. 20. 이전 1 ··· 50 51 52 5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