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0 [Spring] 스프링 OAuth2 카카오 로그인 과정 (OAuth2 스프링 5편) https://growth-coder.tistory.com/142 [Spring] 스프링 OAuth2 네이버 로그인 (OAuth2 스프링 4편) https://growth-coder.tistory.com/141 [Spring] 스프링 OAuth2 페이스북 로그인 (OAuth2 스프링 3편) 이전 구글 로그인에 이어서 페이스북 로그인도 진행해보려 한다. https://growth-coder.tistory.com/136 [Spring][Spring] 스 growth-coder.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OAuth2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해보려고 한다. 카카오 로그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위 단계대로 따라해보려고 한다. kakao developers 세팅 우선 Kakao Dev.. 2023. 5. 28. [OS] 프로세스 동기화 문제 (세마포어) 프로세스는 공유 메모리를 사용하여 공통된 변수와 버퍼를 공유한다. 그런데 context switching을 통해 현재 cpu를 할당받은 프로세스가 달라지면 공유 메모리에 동시에 접근하는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동기화 이슈라고 한다. 동기화 이슈 예를 들어서 A와 B가 100만원이 들어있는 같은 통장에 10만원씩 예금했다고 해보자. 10만원을 예금하는 코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통장의 총 금액을 가져온다. 해당 금액에 10만원을 추가한다. 추가한 금액을 통장에 저장한다. 멀티 프로세스 환경에서는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없다보니 두 프로세스를 조금씩 번갈아가면서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다음과 같이 context switching이 발생할 수 있다. (빨간색이 프로세스 A, 초록색이 프로세스 B.. 2023. 5. 27. [AWS] HTTPS로 서버 배포하기 3편 (Route53에 도메인 연결) https://growth-coder.tistory.com/180 이전 포스팅에서 private subnet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ession manager 방식으로 접근해보았다. 이제 EC2 서버를 배포할 도메인을 구매해서 Route53에 연결해보려고 한다. 우선 도메인을 구매한다. 나는 가비아를 이용하였다. 연습용이기 때문에 가장 싼 store 도메인을 구매하였다. https://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1. 호스팅 영역 생성 이제 aws의 Route53 -> 호스팅 영역 -> 호스팅 영역 생성에 들어간다.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주고 우리는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할 예정이므로 퍼블릭 .. 2023. 5. 26. [OS] 쓰레드의 개념과 프로세스와의 차이 https://growth-coder.tistory.com/139 [OS]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및 프로세스 구조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는 혼동하기 쉬운데 둘은 엄연히 다르다. 프로그램은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들의 집합이다. 또한 컴파일된 결과물이 디스크에 저 growth-coder.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프로세스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 내부에서 실행되는 쓰레드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쓰레드는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cpu의 작업 단위이다. 프로세스 내부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라고 보면 된다. 하나의 프로세스 내부에서는 여러 개의 쓰레드가 실행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쓰레드를 가지는 프로세스를 멀티 쓰레드 프로세.. 2023. 5. 25.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8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