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6 [백준 1238][파이썬] 파티 (다익스트라, dijkstra) https://www.acmicpc.net/problem/1238 1238번: 파티 첫째 줄에 N(1 ≤ N ≤ 1,000), M(1 ≤ M ≤ 10,000), X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두 번째 줄부터 M+1번째 줄까지 i번째 도로의 시작점, 끝점, 그리고 이 도로를 지나는데 필요한 소요시간 Ti가 들어 www.acmicpc.net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문제이다. (다음 링크 참고) https://growth-coder.tistory.com/41 [Algorithm] 다익스트라 (Dijkstra algorithm), 벨만 포드(Bellman ford algorithm) 그래프에서 특정 노드에서 특정 노드까지 가는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공부해보려 한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2023. 6. 5. [Network] IP addressing IP 주소는 총 32비트로 8비트씩 4개, 즉 1바이트씩 4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223.1.1.1의 경우 다음과 같다. 11011111 00000001 00000001 00000001 (223.1.1.1) 또한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눌 수 있다. 문자 그대로 네트워크 주소는 네트워크의 주소를 의미하고 호스트의 주소는 나 자신의 주소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주소가 같다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당연하게도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가 크다면 그만큼 호스트 주소의 범위가 줄어든다. 호스트의 수를 생각해서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를 정하면 된다. 네트워크 주소의 범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클래스가 존재한다. Subnet 호스트 주소를 할당받으면 이 호스트 주소를 더 작은 단위.. 2023. 6. 4. [Spring][인프런 스프링 DB] JDBC와 DataSource 본 포스팅은 김영한 강사님의 인프런 강의 "스프링 DB 1편"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db-1/dashboard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 인프런 | 강의 백엔드 개발에 필요한 DB 데이터 접근 기술을 기초부터 이해하고, 완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DB 접근 기술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더 깊이있는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강의 www.inflearn.com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가 위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단점은 데이터베이스마다 방식이 다르다는 점이다. 이를.. 2023. 6. 3. [Algorithm] 컨벡스 헐 만들기(Convex Hull), Graham Scan 아래 그림과 같은 점들이 있다고 하자. 모든 점들을 이어서 다각형을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1. 가장 먼저 y 좌표가 가장 작은 점을 기준으로 잡고 다른 점들과 모두 연결한다. 2. 기준으로 잡은 점을 관통하는 x축에 수평인 직선을 긋고 각도를 계산한 후 작은 순서대로 번호를 매긴다. 3. 번호 순서대로 연결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점을 지나는 다각형이 완성되었다. 물론 당연하게도 이 다각형 외에도 여러 모양의 다각형을 만들 수 있다. 각도 알아내기 점들을 각도 순서대로 정렬하려면 각도를 알아낼 수 있어야 한다. 각도를 알아내는 방법은 탄젠트 값을 구한 다음에 탄젠트의 역 함수인 아크 탄젠트 함수에 넣으면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는 정확한 각도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 2023. 6. 2.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82 다음 728x90 반응형